PEPPERMINT CANDY (1999)

PEPPERMINT CANDY (1999)

By LEE Changdong

Details & Storyline
  • LEE Changdong’s second feature, a cubist portrait of a soldier turned cop turned business professional, turns the normal rules of chronology inside out, all while in full gallop across the terrain of two decades of Korean history. In this vortex of time, we move forward, while Yong-ho (Sol Kyunggu) is repeatedly revived, contradicted, obliterated, and redescribed in events that map onto an extreme picaresque through the past, beginning with the edge of the millennium and ending just before the Gwangju massacre. It would be impossible to miss the cast’s fiercely committed performances or Lee Jaejin’s bright and haunting score, but what marks this as Lee’s first masterpiece is how these elements, coupled to the dream-logic recurrence of actors, songs, objects, and lines of dialogue, ignite a sense of all-consuming mystery. If life, as in Kierkegaard’s line, can only be understood backwards, but lived forwards, Lee lets us have it both ways at once.

    Le deuxième long métrage de LEE Changdong, portrait cubiste d'un soldat devenu flic puis professionnel des affaires, bouleverse les règles habituelles de la chronologie, tout en parcourant au galop deux décennies de l'histoire coréenne. Dans ce tourbillon temporel, nous avançons, tandis que Yong-ho (Sol Kyunggu) est sans cesse ravivé, contredit, effacé et re-décrit au cours d'événements qui s'inscrivent dans un picaresque extrême à travers le passé, commençant à l'orée du millénaire et se terminant juste avant le massacre de Gwangju. Il serait impossible de passer à côté des performances férocement engagées des acteurs ou de la partition lumineuse et obsédante de Lee Jaejin, mais ce qui fait de cette pièce le premier chef-d'œuvre de Lee, c'est la façon dont ces éléments, associés à la récurrence onirique des acteurs, des chansons, des objets et des lignes de dialogue, font naître un sentiment de mystère dévorant. Si la vie, comme le dit Kierkegaard, ne peut être comprise qu'à l'envers, mais vécue à l'endroit, Lee nous permet de la vivre dans les deux sens à la fois.

    이창동 감독의 두 번째 장편영화인 박하사탕은 이야기의 결말에서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방식으로 영화가 진행됩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플래시백이 특징으로 한국현대사의 비극과 맞물린 개인의 불행을 첫사랑의 기억 박하사탕의 맛 광주민주화 운동에서의 오발사고 타락해가는 자신의 모습을 시간적 역순으로 배치하여 독특한 플롯을 짜고있는 2000년 최고의 한국영화입니다. 

    <박하사탕>은 20년의 시차를 두고 순수한 청년에서 파괴당한 중년으로 변질된 영호의 인생을 일곱 단계의 플래시백을 따라 여행합니다. 이창동의 묵상은 1999년 IMF 외환위기에서 출발해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으로 귀결되는 역 연대기의 궤도를 탐험합니다. <박하사탕>은 한국 사회가 군사독재에서 현대 자본주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거쳐간 정치적 사건들과 사회적 문제, 폭력, 타락의 기원을 모두 보여줍니다. 플롯 시간은 앞으로 가지만 스토리 시간은 뒤로 흘러가는 시간의 역설을 형상화한 내러티브 설계 안에서 영호의 반응과 행위는 현대의 관점에서 역사적 사건들을 재평가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같은 시간 되밟기 구조는 한국영화의 뿌리 깊은 자연주의 전통을 파기하면서 역사와 픽션이 엇물린 혁신적 스토리텔링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2022년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 장병원)

  • Languages

Press Enter to begin your search

By signing in, you agree to our terms and conditions and our privacy policy.

New membership are not allowed.